4대보험계산기 사용법및 모의계산

컴퓨터일반|입력 2018. 6. 5. 08:53

4대보험계산기 사용법및 모의계산


직장을 다니시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4대보험에 가입이 되며 급여에서 공제가 되어 수령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4대보험으로 지급되는 금액은 얼마나 되며, 실제 급여에서 모의계산을 통해서 세부적으로 알아보도록 하죠.



4대보험의 종류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산재보험이 있습니다.

각각 요율이 틀리며 근로자와 사업자가 절반씩 부담을 하고 있습니다.


먼저 4대보험계산기로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시면 손쉽게 사이트를 찾을수 있습니다.


4대보험계산기로 들어가면 모의계산을 바로 해볼수 있습니다.

4개의 항목이 보이며 월 급여액을 입력을 하면 자동계산이 되어나옵니다.


보통 연봉1800만원등으로 입사를 하는 경우가 있죠.

이런경우 월 급여액은 150만원으로 산정이 되는데 이 금액을 가지고 4대보험료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실 급여액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국민연금은 전체보험료 9%중에서 근로자 부담은 4.5%입니다. 금액은 67,500원이네요


다음은 건강보험에서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가 있네요


다음은 고용보험이 있습니다.


다음은 산재보험인데 위험성에 따라 사업장별로 보험료율이 세분화 되어있습니다.

실제적인 계산이 불가하네요. 대신 일반 사무실의 경우 금액은 얼마 안되어 이건 무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모의계산으로 4대보험계산기를 사용해봤습니다.

실급여는 얼마나 나올까요


4대보험의 비용을 차감한 금액이 실급여액이 됩니다.

누구나 손쉽게 4대보험계산기를 사용하여 실급여액을 모의계산해볼수 있습니다.

ⓒ 온누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